content="user-scalable=no, initial-scale=1.0, maximum-scale=1.0, minimum-scale=1.0, width=device-width"> 대형 사무소 vs 소형 사무소
본문 바로가기
변리사의 합격부터 실무까지

대형 사무소 vs 소형 사무소

by possiability 2024. 12. 14.
반응형

이전 글에서는 업무의 방향에 대해서 적어보았다면,

이제는 대형 사무소 또는 소형 사무소 중 어떤 곳을 골라야 되는지에 대해 적어보고자 한다.

'특허사무소' 또는 '특허법인' 만을 가지고 작은 회사인지 큰 회사인지 판단하면 안된다.

전체 구성원의 수를 보고 대형 사무소인지 소형 사무소인지 판단하여야 한다.

 

보통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구성원의 수를 체크하는 경우가 있다.

변리사의 수를 보고 몇 명 정도 있는지 판단하는 경우가 있는데,

특허사무소 혹은 특허법인은 변리사 뿐만 아니라 관리팀과 직원분들을 모두 포함한 수로

전체 구성원이 몇 명 있는지 판단하는 것이 맞다.

특허사무소나 특허법인의 인원이 몇 명 있는지 면접에서 물어보는 요소가 되기도 한다.

그렇다면 대형사무소와 소형사무소의 차이에 대해 적어보고자 한다.

 

1. 상대하는 고객(클라이언트)의 차이

가장 중요하게 봐야하는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대형 사무소의 경우 주로 대기업을 상대로 한다.

그렇기 때문에 대기업 건의 특정 기술 분야에 대해 지속적으로 다룰 것이다.

모든 기술 분야를 다루는 것이 아니라 부서별로 나누어질 것이고,

그 중에서 특정 분야에 대한 것만 반복적으로 다룰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한편, 소형 사무소의 경우 상대하는 고객은 주로 중소기업, 대학교 연구소, 스타트업 등에 해당한다.

이 경우 특정 기술 분야에 대해서 다루는 것보다는 여러 가지 기술 분야를 공부해야 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기술을 다루는 스펙트럼이 대형 사무소에서 근무하는 것보다 더 넓을 것이다.

 

2. 다루는 업무 종류의 차이

대형 사무소에서 근무하는 경우 보통 다루는 업무는 한정되어 있는 편이다.

사무소에 근무하는 인원이 많다보니, 각각 할당받은 업무들이 정해져 있고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경우가 보통이기 때문이다.

명세서 작성하여 출원하고, 거절이유에 대응해서 OA를 작성해야 하는 경우라면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할 것이고,

조사 분석 업무만을 수행하는 경우라면 이것만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는 형태와 같이 말이다.

 

한편 소형 사무소의 경우 다루는 업무의 폭이 매우 넓다고 할 수 있다.

사무소에 근무하는 인원이 적은 편이다 보니, 인원 한 명 한 명이 소중하고 절실하다.

따라서 명세서 작성 업무, OA 업무, 조사 분석, 컨설팅 등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게 되는 특징이 있고 그만큼 정신이 없을 것이다.

그렇다 보니 보다 버라이어티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이에 수반되어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소형 사무소의 경우는

대형 사무소에서 출장을 잘 가지 않고 책상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것과 다르게

출장을 상대적으로 많이 다니는 편에 속한다.

 

3. 변리사 동기의 유무

이거는 부차적인 사항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래도 무시 못하는 요소에 해당한다.

대형 사무소의 경우는 아무래도 규모가 크다 보니 동기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동기들과의 친목도 어느 정도 다질 수 있고 그렇게 외롭지 않을 것이다.

 

반면, 소형사무소의 경우는 동기가 없을 확률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는 사람이 없을 수 있고

외로움을 느낄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렇게 대형사무소와 소형사무소의 차이를 적어보았다.

사무소를 선택하는데에 있어서 정답은 없다.

하지만, 커리어를 이어나가는데 있어 중요한 요소에 해당되기 때문에

신중하고 사려깊게 어떤 사무소를 가야할지 판단해야 할 것이다.

반응형